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오행(五行)중 토(土)의 체성(體性) 통변(通辯)

by 정명박사 생활 명리학 2024. 12. 8.

오행중 토(土)의 개요

오행의 토()는 흙으로  중화, 가운데(중앙), 숫자는 5/0을 의미하며 한글 초성자는 ㅇ,ㅎ을 상징합니다. 장부로는 비장(脾腸)과 위()에 해당합니다

무토(戊土)를 상징하는 큰 산, 출처 : KBS영상앨범 산

 

무토(戊土) 개요

무토(戊土)는 양의 토로 용토(聳土)의 상이니 병화(丙火)와는 화생토(火生土)이고, 경금(庚金)과는 토생금(土生金)의 상생(相生)의 관계이나 무정(無情)하며, 정화(丁火) 신금(辛金)과는 상생(相生)이며 무정(有情)하다.

임수(壬水)와 상호 견제하여 무정( 無情)하며 계수(癸水)와는 견제하나 합()이며 유정(有情)하다.

갑목 (甲木)은 무정(無情)하며 견제가 심하고 을목(乙木)과는 견제하나 유정(有情)하다

일반적 통변(通辯)으로는 자연 형상으로 산, 언덕, 댐 등을 상징하고, 하늘의 기 즉 천기( 天氣)로는 구름, 안개, 흐린 하늘을 상징합니다.

()의 성정(性情)으로는 길()로 해석될 때는 점잖다, 의젓하다, 듬직하다, 과묵하다, 근엄하다로 해석하며, ()으로 해석할 때는 미련하고, 눈치가 없다, 고집이 세다, 답답하고, 현실성이 어둡다로 해석합니다.

() ()의 직업적 상징으로는 토목가, 변호, 중개, 무역 등에 적성이 맞다고 통변합니다.

기토(己土)는 전야(田野)에 비유되는 평토(平土)이다. 병화(丙火) 경금( 庚金) 과는 유정(有情) 상생(相生) 하며, 정화(丁火) 신금(辛金) 과는 상생(相生)이나 무정(無情) 하다.

임수(壬水)와 상호 견제하나 유정(有情) 하며 계수(癸水)와는 견제하면서 무정( 無情) 하다.

감목(甲木)은 견제하나 합()으로 유정(有情) 하고 을 목(乙木) 과는 견제하니 무정(無情) 하다.

일반적 통변(通辯)은 자연 상()으로는 전야(田野), 평지이고, 하늘의 기인 천기(天氣)의 상()은 구름, 안개, 흐린 하늘로 통변 해석합니다.

 

기토(己土) 개요 

기토(己土)의 성정(性情 )은 길()로 해석할 때는 평화, 이상향, 종교, 평등, 포용적, 풍요적, 안정, 인정이 많다로 해석합니다.

기토(己土)를 상징하는 평지 땅

()일 때에는 변화성이 적다, 곧이곧대로, 외부에 민감하다, 자립성이 약( ) 하고, 활동성도 약() 하고, 게으름, 현실 안주.. 소극적. 수동적으로 통변합니다

기토(己土)의 직업적 적성으로는 법전, 토목가, 변호, 중개, 농사, 건축, 상담사가 적합하다고 판단합니다

인체와 연결되는 오장육부와 연결된 해석은 토()는 비위(脾胃)로서 상복부, 복부 전체, 식욕, 영양 전신 전달, 수척, 비만, 소갈증, 전신 수습(水濕) 관리, 생혈(生血), 통혈(統血), 슬관절(膝關節), 구순(口脣), 안면(顔面)을 상징합니다.

오장육부와의 구체적인 해석은 비위( 脾胃)의 구분은 음양(陰陽)으로 하지 말고 의미와 기능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소화를 담당하는 위의 기능은 위주조(胃主燥)라고 부르며 조토(燥土)인 술토(戌土)와 미토(未土)의 세력이 있으면 위의 기능은 강하고, 본초는 당귀, 황정초가 기본 약재이며, 경혈은 통리(通理)와 수족삼리가 기본 혈자리입니다. 비장을 담당하는 토()는 비주습(脾主襲), 비생혈(脾生血)로 습토(濕土)인 진토(辰土)와 축토(丑土)가 있으면 비기(脾氣)가 강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본초는 백출, 백편두,선복화이며 경혈 자리는 유(),(),족삼리입니다.

 

토(土)의 체성(體性)격국(格局)

무기토(戊己土)의 체성격국(體性格局) -적천수 천미편에 나오는 사주를 통원서당 강목년 원장님이 해석한 내용

독왕가색(獨旺 稼穡) 하고, 무토(戊土)에 경금(庚金)으로 설정영(泄精英)하여 원석(原石)을 취금(取金)하고, 기토()에 신금(辛金)을 취()하여 취금(取金), 조토생금(燥土生金)한다. 임수(壬水)와의 격조(格調)를 이루어 지소(池沼)를 이루어 취수(取水) 하고, 다시 계수(癸水)와 갑목(甲木)과 대림양생(大林養生)하고, 을목(乙木)과 초곡양생(草穀養生)한다.

이 남자의 첫인상은 리더십 있고, 인정 있고 외부 활동할 때는 밝고 언변도 좋고, 집안으로 들어와 가정에서도 본인이 주도형으로 이끌어가려는 성격이고 방 안에서는 차분하게 행동하는 성격이다

이 사주는 자신과 자존심은 앞세우지 말고 천부적인 토성의 왕성한 재적(財的) 능력을 재물을 취하는 삶을 살라는 명조이며 토왕자(土旺者)를 만나야 하고, 토왕(土旺)한 해에 길한 기운이 쏟아지는 명조이다.

특히 인수(印綬)의 육친인 어머니와, 선배, 스승과 견겁(肩劫) , 친구, 형제의 소외감과 무시당함이 크니 특히 배려해야 한다.

부인이 재득본위(財得本位)로 역할을 다하며 삶에 주체인데 본인도 함게 동조하고 있는 삶이다.

남자(乾命), 적천수 천미편(통원서당)

 

여기부터는 명리학을 공부하는 분들 중에서도 전문적으로 들어가는 부분이라 관심 있는 분들만 보시면 되겠습니다.

 

적천수 천미편에 나오는 실사주를 체성명리학으로  해석 

이 사주는 적천수 천미편에 나오는 사주로는 화토왕과 조목인 목까지 토()로 합쳐져서 가색격이 되는 사주로 해석된다

생조유토(生助唯土) 방성후토(方成厚土) 가색지격 (稼穡之格)으로 해석한다

명조(命造) 구성상 오직 토기(土氣)와 생() 하는 화기(火氣)로 이루어져 재관( 財官)의 견제도 없고

식상( 食傷)의 설기작용(泄氣作用)도 없는 오로지 토기생조(土氣生助)의 기결(氣結)로 만 이루어진 후중(厚重) 한 토기 독왕(土氣 獨旺)의 모습이다.

가색(稼穡)본래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땅을 뜻하나일기격(一氣格)에서의 가색(稼穡)은 토일기(土一氣)로 왕성(旺盛)함만을 뜻하니 혼돈하지 말 것이며 의미적 가색(稼穡)은 양생(養生)의 격조(格調)로 해석해야 한다.

화운( 火運)은 생토(生土)하니 길신(吉神)이며 토운(土運)은 조토(助土)하니 용신(用神)이며 금운(金運)은 설정영(泄精 英)이니 길신(吉神)이며 목운(木運)은 토다목분(土多木折)하여 양생파격(養生破格)으로 파멸(破滅)할 수 있고 수운(水運)은 토다수색(土多水塞)으로 양생(養生), 취수파격(取水破格) 파멸(破滅)할 수 있다.

명리학을 해석하는 다른 학파의 가색격(稼穡格)을 아래와 같이 해석하는 학파도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사주(四柱)의 격() 정하는 법의 하나로 일행득기격(一行得氣格)에 속한다. 이 격은 무기(戊己) 土日生이 지지에 진술축미(辰戌丑未) 로 거의 구성되고 갑을인묘(甲乙寅卯)이 없으면 이루어진다. 목극토(木剋土)의 원리를 적용하여 해석함

는 본질이 만물을 생장(生長)시키는 바탕이다. 특히 초목백과(草木百果)는 흙에서 자라 열매가 맺는 고로 이 초목백과를 심고 가꾸는 근본지(根本地)라 해서 가색격(稼穡格)이라 한다.

이 격을 놓으면 동방(東方) 인묘진(寅卯辰) 목운(木運)을 크게 꺼리게 되며, 남방(南方) 사오미(巳午未) 대운을 가장 좋아하게 된다]

필자 해석() - 동방 목운을 꺼리는 것은 목극토(木剋土)원리를 적용하여 해롭다 해석하지만, 사람의 일생에서 적용받는 대운에서 목기가 들어오고, 진토, 해수가 있으면 양생(養生)격으로 바뀌면서 흉()운으로 변하여 패망하니 목()기를 꺼리고, 조목(燥木-,卯木)이나 화(-巳午未)세력을 받으면 토왕의 일기격(一氣格)으로 되어 길운(吉運)이 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