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풍수지리(風水地理)의 의미와 유래

by 정명박사 생활 명리학 2025. 1. 7.

1. 풍수지리 의미 

풍수지리(風水地理)란 인간의 생사와 천지자연과의 합일사상(合一思想)으로 상학중(相學中) 하나로 지상(地上)에 해당된다. 땅의 상을 읽는다. 우리가 관상(觀相)하면은 사람의 삶 그 상황을 만들어내는 내면의 마음을 읽는 것과 같은 같은 의미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그런 지형이라 그러죠. 천상, 인상, 지형의 용어가 각각 의미가 다지만, 여기서는 관상에 의미와 비슷하게  지상(地相) 이렇게 표현 합니다.

풍수학을 표현하는 여러 용어가 있습니다.

1.감여(堪輿) : 이 단어의 한문은 견딜감字로 하늘을 말하고, 수레여(輿)字는 땅을 의미합니다.  뜻은 하늘을 싣고 있는 수레를 의미하는데 그것은 바로 그 땅을 말합니다. 풍수지리용어에서 가장 고급진 표현입니다. 

 지리  즉 땅의 이치가 하늘의 변화와 이치를 반영 순응하고 있다 하여 하늘의 수레 즉 감여 (堪輿) 라 하게 된 것입니다.  지리학은 인간 삶의 절대적 영향을 미치므로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천지(天地)와  천지와 인간과의 관계를 그 근본적으로 발생과 변화를 연구하여 삶의 적용 조절한 학문 체계를 말합니다.

2. 지리(地理) : 풍수학을 지칭하는 용어가 지리학입니다. 지와 인간의 관계를. 학리적(學理的)으로 설명한 영역을 말합니다. 지리는 풍수지리보다도 또 근원적인 의미의 학문입니다. 요즈음은 풍수 하는 사람도 지리학을 한다. 이런 표현을 하는데 약간 다릅니다.

3. 지술(地術) : 지술은 땅의 술수를 구사한다 이런 의미입니다. 인간의 관계에서 흉을 피하고 복을 구하는 술법을 앞세운 이런 의미가 되어 지술이라는 용어로 낮추어진 의미가 있습니다.  지금은 고고한 학문만 한다고 잘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그것을 활용하는 기술자들이 중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실용학문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겠습니다.

조선시대에는 과거시험중 풍수를 담당하는 중인들로 제한하는 시험이 있었습니다. 이 과거 시험에는 청오경, 금남경, 호순신, 명산론이라는 과목이 필수 과목이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풍수 하는 관리나 사람들을 양반 취급 안 하고 중인으로 취급하는, 약간 비하하면 술사(術士)라고 한 적도 있습니다.

사실은 풍수학도 성리학(性理學)에서 중시하는 이기론(理氣論)의 원리를 충실히 따르면 이치대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풍수학을 하는 학술 연구자를 감여자. 풍수지리 하는 사람을 감여자, 지리가, 또는 지가, 지사, 지관, 풍수라고 부릅니다.

지가(地家) 내지 사가(士家)라는 소리는 동양에서는 집단을 말합니다. 그래서 공자를 따르는 무리들을 유가(儒家), 부처님 모시는 사람들을 불가 이렇게 표현합니다. 일종의 계파를 말합니다.

2. 풍수지리 유래와 경전

1) 한나라시대 청오경(靑烏經)

2)진나라 금남경 -우리나라 삼국시대에 해당하는 중국의 진나라 곽박이 청오경을 인용하여 저술한 책

3) 당나라시대 (우리나라 통일신라시대)에 라경을 이용하여 방위를 측정하기 시작했으며 학문적으로 완전히 정립된 시기입니다. 대표적 학자는 양균송, 장설, 홍사, 장일행, 정문유, 요금정 등이 있다고 전해집니다

4). 송나라시대, 우리나라 고려시대에 에 해당되며 리기론으로 크게 발전하였던 시대입니다. 명리학도 송나라 시대때부터 체계적인 학문으로 자리매김한 시기이기도 합니다

5) 우리나라 역사는 삼국 시대 초기부터 사용된 것으로 추정하며, 통일신라 말기에 도선(道詵) 국사가 전한 것으로 전해진다

고려시대에는 도참사상이 성행하였고, 서경천도설,한양천도설, 나옹선사의 제자 무학대사는 조선의 개국을 도와 한양에 도읍지를 정하는 등 풍수학이 크게 이용되었다고 전해집니다

조선의 개몽파들은 풍수지리설을 크게 비난하였고 미신으로 취급하는 규정까지 만들었으나 정작 본인들은 식민지 통치에 철저하게 풍수를 이용하였다고 전해집니다.

현재 서울의 최고 명당지는 용산입니다. 배산임수가 완벽하게 자리한 곳이어서 일제강점기나, 미군정에서나 용산의 가장 중요한 시설들이 존재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서울의 경복궁은 배산임수가 되지 않는 곳이어서 용산보다 길지로 평가받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